Front End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web(jQuery) HttpServlet : 클라이언트의 요청(url)을 처리, 동작Listener :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동작Filter : 요청을 처리하기 전이나 처리한 후에 동작 Listener :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호출되는 인스턴스- ServletContextListener : 웹 애플리케이션의 시작과 종료- 시작 : 필요한 모든 인스턴스 생성(속도↑)(스프링은 인스턴스를 처음에 생성해달라고 요청하면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이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 자원이 제한적 가용성이 중요 자원이 무제한(이라고 본다) - 분산처리 속도가 중요 - 일은 함수와 메소드가 하는 것은 모두 알 것이다. 그런데 자바는 객체지향 언어이기 때문에 메소드가 일을 하기 전에 필수불가결적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메소드를 호출해서 일을 시켜.. java web log파일 만들기 https://github.com/Knockotd/HTML-AND-JSP/blob/master/javawebparameter0824/WebContent/writerlogfile.jsp .getRemoteAddr .Printwriter - .println() .getRemoteAddr 로 client의 ip를 가져오게 되면 정확하지 않은 ip값이 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아래 링크 참고. http://apieceofspace.blogspot.com/2014/01/jsp.html?m=1 좀 더 자세한 설명이 있는 곳 https://www.lesstif.com/pages/viewpage.action?pageId=20775886 서블릿 **HttpServlet * JSP(Java Server Page) 1. HttpServlet= URL을 이용해서 호출할 수 있는 자바 클래스= 이 클래스는 웹 컨테이너가 관리= 매핑된 URL에 해당하는 요청이 처음 왔을 때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요청을 처리합니다.= 두번째 요청부터는 앞에서 만든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처리합니다.= 서블릿 인스턴스는 항상 1개만 존재합니다. ==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인스턴스를= 1개만 생성하도록 해주는 디자인 패턴)= 자바 코드 안에 출력하는 HTML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데 HTML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불편합니다.= 용도는 주로 MVC 패턴에서의 Controller 역할 : 사용자의 요청이 오면 필요한 비지니스 로직을 호출해서 작업을 수행시키고 .. 커스텀태그(JSTL) ** Java Project 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1. 일반 Java Application의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jar 파일을 선택하고 build path에 추가해주면 됩니다.=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서 configure build path 메뉴에서 하면 됩니다. 2. Java Web Application의 경우= WebContent/WEB-INF/lib 디렉토리에 복사해주면 됩니다. 3. Maven 이나 Gradle의 경우는 설정 파일에 사용할 라이브러리의 이름을 설정하면 됩니다.= 안드로이드가 gradle 방식. **JSTL= jsp 파일에서 자주 사용하는 java 기능을 태그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 apache 재단에서 만들어서 배포= jstl.jar 파일.. el ** 자바(jsp)에서 처리를 수행한 후 결과 페이지로 이동하기1. forwarding : url을 변경하지 않고 이동- 새로고침을 하면 처리를 다시 수행 1) 태그로 이동하는 방법 2) 자바 코드로 이동하는 방법 2. redirect : url을 변경해서 이동- url을 변경했기 때문에 새로고침을 하면 처리를 다시 수행하지 않고 결과 페이지만 다시 출력 **처리한 후 결과를 출력하는 페이지에 전달하기- request, session, application 이용 가능- request는 forwarding 했을 때만 데이터가 전달- session 과 application은 이동 방법 상관없이 데이터가 전달 1. 저장하는 메소드 2. 읽어오는 메소드 3. 삭제하는 메소드 ** EL- Expression La.. javabean & error ** VO(Variable Object - Data Transfer Object)- 여러 개의 속성을 묶어서 하나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객체- 이 객체의 클래스를 만들 때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만듭니다. 1. 데이터를 저장할 속성을 private 이나 protected 지정자를 이용해서 생성합니다.최근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protected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속성은 private 이나 protected로 선언했기 때문에 외부(인스턴스)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접근자 메소드(getter & setter)를 만들어 줍니다. 3. 각 속성의 값을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toString 메소드를 overriding 합니다.- 여기까지는 필수 4. 외부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대입할 때 빠르.. 쿠키와 세션 객체단위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클래스 : Serializable정보를 주고 싶으면 임플리 먼츠 해야함클론: 복제롤백 -> 복제한 것이 다시 원래자리로 온다클론을 할 수 있는 것은 cloneable 임플리 먼츠 한 것만 가능숫자 - > 문자 ""문자 -> 숫자 ~.parse~겟은 가져오는 거라서 항상 리턴 타입이 있다.셋은 저장하는 거라서 리턴 타입이 없지만 매개변수가 하나 이상이 있다. 항상 쿠키를 들고 다니면서 서버에게도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보고할 수 있다. 맵. 세션은 하나의 접속한 웹브라우저다.대형 회사에서는 세션에는 아이디만 저장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메인은 보통 하나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뜻한다.로그인 연합 서비스에서는 사용하는 것인데 도메인은 다른 것을 사용할 수 .. [0827]javaweb2 - 다른 페이지의 수행 결과를 가져와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태그- page 속성에 가져올 페이지 url을 설정- flush 속성에 boolean 문자열로 flush 여부를 설정 - 보통 false- 수행 결과를 가져와서 삽입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변수를 공유할 수는 없습니다.- 공통으로 삽입될 jsp 페이지를 생성 : sub.jsp 다른 페이지에 포함될 공통된 내용을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 - sub.jsp파일을 포함할 파일을 생성 : jspinclude.jspjsp include 는 다른 페이지의 수행결과를 포함하는 페이지 입니다. - sub.jsp 파일의 결과가 jspinclude.jsp 파일에 포함이 되는데 불필요한 태그가 중복으로 만들어집니다.- 불필요한 태그를 제거다른 페이지에 포함..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